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r4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기타 == * 기획은 2014년부터 [[세가]]와 크립톤 픽쳐스의 공동 기획으로 시작되었는데[* 시기상 [[하츠네 미쿠 Project mirai 디럭스]]의 발매 당시 인터뷰에서 언급했던 '차기 시리즈'가 프로세카인 것으로 보인다.], 당시에는 큰 난항을 겪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를 기반으로 해서 발매하려고도 하고 스마트폰 어플과 유튜버의 흥행으로 인해 마스코트인 [[하츠네 미쿠]]가 다양한 매체에서 다른 미쿠를 연기하거나 다양한 캐릭터와 접해보는 시나리오를 계획했으나 이게 쉬운 일은 아닌 모양이라.. 결국 외부 업체에게 의뢰를 하면서 협력을 약속했는데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의 프로듀서였던 콘도 유이치로[* 이 당시에 Craft Egg의 자회사인 Colorful Palette를 창업하면서 실력있는 개발자들을 토대로 활동하는 신생 회사였다. 보카로 프로듀서로 활동했던 경력도 있다 보니 세가와 크립톤 픽쳐스에서 그의 아이디어를 얻었다.]를 불러들였고 이 3사의 기획에 절충되어서 만들어진 게 현재의 프로젝트 세카이다. 'feat. 하츠네 미쿠'는 의외로 보카로P들이 작곡하는 방식에서 조교하는 보컬로이드 이름을 표기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식을 인용한 것이다.[* 이것 때문에 오리지널 캐릭터 비중이 높아지고 버추얼 싱어들의 홀대 논란으로 인해 비꼬는 단어로도 사용된다.--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sometimes.하츠네 미쿠--] * 극초기 설정은 판타지 요소가 강한 세계관을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나, 하츠네 미쿠의 개발자인 사사키 와타루의 제안으로 흥행중인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의 시스템을 대거 도입하여 젊은 층을 끌어들이고자 현대 무대로 설정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게임 전반적으로 걸파를 의식한 듯한 점이 눈에 띈다. 스토리 컨셉도 성장이라는 키워드에 초점이 맞춰졌고, 전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현실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다수 보이며 판타지 요소는 세카이 개념에 한정되어 묘사된다. * 캐릭터 뽑기 리듬게임 중에서는 드물게 남녀 혼성유닛이 2개나 존재한다.[* 보컬로이드 팬이 남녀를 가리지 않고 많다는 것을 고려해서 이렇게 정했다고 한다.] 물론 그렇다 해도 오리지널 유닛 5개 가운데 2개만이 혼성그룹이며, 캐릭터 수로 따져도 20명 중 4명 뿐이라[* [[아키야마 미즈키]]의 경우는 논외. 생물학적 성별이 남성이지만, 대외적으로는 스포일러 문제로 게임 시스템 상으론 여캐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여전히 여캐가 압도적으로 많다. * 기본적으로 [[사자에상 시공]]을 따라 크리스마스, 신년 등 시즌 이벤트와 애니버서리 이벤트는 계속 진행하지만[* 의외로 스토리 내에서 여름 시즌은 잘 묘사되지 않는다. 당장 캐릭터들의 하복 모습도 한 학년이 진급한 3주년 이후까지도 일러스트나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전해지지 않는 미쿠의 노래|극장판]] 설정화로만 존재하고 모델링으로는 공개되지 않았다.] 캐릭터들은 나이를 먹지 않고 계속해서 고등학교 1학년, 2학년에 머물러 있었는데 2022년 9월 29일에 진행된 프로젝트 세카이 2nd 애니버서리 생방송에서 3주년이 되면 '''각 유닛의 캐릭터들이 한 학년씩 진급할 예정'''이라는 발표가 나왔다. 일부 캐릭터들은 진급하면서 신장이 1cm 또는 2cm가 증가했다. * 이후 3주년 지하철 광고에서 반배정표를 공개하여 진급 현황이 밝혀졌다. 미야여고에서는 코하네, 이치카, 호나미가 2-A반, 에무, 사키, 시호가 2-B반에 배정되었으며 예정대로 미노리와 하루카는 학점제 반인 D반에 배정되었다. 이로써 레오니드의 모든 멤버에게 최소 1명씩 유닛 멤버 클래스메이트가 생겼다. 마후유는 3-B반, 시즈쿠와 아이리는 학점제 반인 3-E반으로 진급하였다. 카미고에서는 아키토, 네네, 안이 2-A반으로, 토우야와 미즈키가 2-B반으로 배정되었다. 3학년의 경우 야간제인 에나는 그대로 D반으로 진급했고, 츠카사와 루이가 3-C반에 배정되었다. 원더쇼와 비배스는 진급하면서 처음으로 클래스가 같은 유닛 멤버가 생겼고, 니고는 유일하게 서비스 기간 중 유닛 멤버 클래스메이트가 한 명도 없는 유닛이 되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멤버 각각이 소속된 학교나 교육과정이 달라 같은 반이 될 수 없다. 카나데는 방통고, 마후유는 미야여고, 미즈키는 카미고 주간제, 에나는 카미고 야간제반. 한술 더 떠 에나는 2학년, 미즈키는 1학년이라 에나가 주간제였어도 같은 반이 될 수 없었다. ] * 신유닛에 대해서는 3주년 Q&A때 공식에서 지금은 아직 없지만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라고 답변했다. * 기본적으로 컨셉이 통일되어있는 다른 유닛물과는 다르게 5개의 유닛이 전혀 다른 컨셉인 것이 특징이다. 레오니드는 정통 스쿨 밴드, 모모점은 아이돌, 비배스는 스트리트 뮤지션, 원더쇼는 쇼 유닛, 니고는 인터넷 음악 서클. 그에 따라 악곡 스타일이 유닛별로 차이가 상당하다. * 공식 트위터에 꾸준히 4컷 만화가 업로드되고 있다. 작가는 [[https://twitter.com/U_s0|우자키 우소(宇崎うそ)]]. 기본적으로 각 이벤트가 끝난 뒤 이벤트 스토리의 후일담 격으로 1화씩 업로드되며, 캐릭터의 생일처럼 기념할 만한 날에도 올라온다. 귀여운 그림체 덕분에 유저들 사이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 다만 우자키 우소가 출산을 앞두는 바람에 2023년 2월부터 휴직상태라 [[https://twitter.com/Ark_kan|아쿠(あく)]]라는 작가가 7월 19일까지 대리를 담당했다. * 오픈 4일 만에 다운로드 100만 회를 달성하였고, 오픈하고 약 1주일 만인 10월 8일에 다운로드 150만 회를 달성하였다. 거기에 그치지 않고, 오픈 3주 만에 다운로드 '''200만 회'''를 달성했다. [[리세마라]]가 필요한 뽑기 게임임을 감안하더라도 반응이 상당히 폭발적이다. * 닉네임, 유닛명, 프로필에 한국어를 사용할 수 있었는데, 한국어 욕설과 더불어 [[일베저장소/용어|일베 용어]]들이 금칙어로 설정되어 있다. 일각에서는 일섭 초기에 이것을 근거로 해외 서비스의 가능성을 점치는 의견도 있었다. 이후 실제로 한국어 서버 발매가 2022년 5월 20일로 확정되었다. [[https://twitter.com/kr_pjsekai/status/1501549246306471936?t=uwUyA_ylLhtayqhmGwlOHA&s=19|#]] 일본 서버의 3주년 업데이트 이후로 기존에 한국어 닉네임으로 설정했거나 설정할 경우, 표기가 [[tofu|]]로 깨져서 나오므로 한국어 닉네임의 의미가 없어지게 되었다. * 성우 중에서 [[하나사토 미노리]] 역을 맡은 [[오구라 유이]]는 실제로 프로젝트 디바에서 하츠네 미쿠 전용 모션 배우로 활동했던 적이 있고, [[아오야기 토우야]] 역을 맡은 [[이토 켄토]]는 과거에 [[21세기P]]라는 이름으로 보컬로이드 프로듀서로 활동했던 경력이 있다. 공식에서도 이를 활용해 [[이토 켄토]]가 프로세카 수록곡을 작곡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OSTER project]]와의 협업으로 [[magic number]]를 제작해 수록했다. * Google Play 2020 올해를 빛낸 인기 게임 우승작으로 선정되었다. * 액티브 유저가 최고 '''290만명''', 평균 200만명 이상으로, 리듬 게임에서 독보적, 전체 모바일 게임 기준으로도 매우 많은 액티브 유저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중 '''80%가 10대, 20대 초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바일 게임 특성상 20대 이상의 성인들을 주류로 삼은 것에 비하면 상당히 이례적. 이는 [[TikTok]]의 영향이 컸다고 볼 수 있다. 일본 젊은 층들의 틱톡 이용률이 굉장히 높은데, 프로세카의 틱톡 태그 조회수는 '''28억 뷰'''로 틱톡에서 굉장히 유행하고 있어 학생들의 유입이 매우 많다. [[톤데모 원더즈]], [[빙그레^^조사대의 테마]]가 틱톡에서 유행하고, 유튜브 조회수 1000만을 찍기도 했다. * 여러대의 기기를 사용할 경우 '게임 데이터가 파손되어 있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게임에 들어갈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는 유저 데이터를 재연동하거나, 재설치를 하면 에러를 회복할 수 있다. 유저 데이터를 재연동하는 것이 편하다. * 데이터 요금제로 치어풀 라이브를 시도하면 접속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VPN을 돌려도 마찬가지다. 이는 DNS 문제로 DNS를 변경하거나 [[Intra]]나 aspear 같은 우회앱을 사용하면 해결된다. 현재에는 데이터 요금제로도 치어풀 라이브 플레이가 가능하다. * 일명 상점 버그라면서 매우 낮은 확률로 리세계, 돌계 등 주로 현금 거래로 손에 넣은 랜덤한 계정의 의상과 악곡 상점이 사라지는 현상이 존재한다. 이 현상에 대해 운영 측에서는 어떠한 대응도 하지 않고 있으며 해당 문제를 작성한 문의에 계정의 문제라며 일관적으로 답변하는 중. 다만 2022년 초까지 알려진 정보를 종합하면 이것은 버그가 아니라 핵계정이나 오토 등의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크리스탈을 취득한 계정에 대한 페널티라고 한다.[* 이는 이 게임 뿐만 아니라 매크로를 통해서 얻는 것 자체가 불법이다. 당장 코나미의 [[유희왕 마스터 듀얼]]도 부정한 방법으로 젬을 얻다가 코나미 측에서 이를 제재한 것과 같다.] 보통 이 증상이 나타난 계정은 포기하는 게 권장된다. 심지어 200대 이상의 고렙 계정에서도 사례가 보고되었다. 정말 낮은 확률이기에 현금 거래로 얻은 계정이라고 심각하게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맨땅계를 제외한 모든 계정은 해당 리스크를 안고 있으니 유의하는 것이 좋다. 일본 서버의 경우 3주년 업데이트로 상점 버그가 생긴 계정의 상점이 부활했다는 보고가 있다. * [[CHUNITHM NEW]] 런칭 때 세카이가 보컬로이드 버전으로 수록, 게키츄마이에도 프로세카 오리지널 악곡이 진출했으며 2022년 10월 7일에는 [[maimai DX FESTiVAL]]에 세카이, 와 와 월드, 군청찬가가 리더즈+미쿠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 [[What's up? Pop!]] 같은 37레벨의 초고렙이 나오자 패턴이 츄니즘(16레인)에서 에어노트만 뺀 것과 비슷한 탓에 '츄니즘 모바일'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참고로 프로세카는 12레인이다. * 의외로 등장인물 중 [[존댓말 캐릭터]]는 단 한 명도 존재하지 않는다. [[반말 캐릭터]]도 [[아키야마 미즈키|미즈키]]를 제외하고는 찾아볼 수 없다. * 남성 캐릭터들의 키가 대체로 모두 큰 편이다. 반면 여성 캐릭터들은 일본 고등학생의 평균 정도의 키이다.[* 다만 160대 초반 혹은 그 이상의 여캐들도 많고 서브컬쳐에서 나름 흔하게 볼 수 있는 150cm 미만 캐릭터가 없다는 점으로 봤을 때는 여성 캐릭터들도 어느정도 평균 이상이라고 볼 수 있다.] * 3주년부터 게임 자체가 리뉴얼되면서 타이틀도 바뀌었다. 정식 명칭은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Brand New World''''. * 이후 4주년에 수식어가 하나 더 붙어서 정식 명칭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Brand New '''Your''' World'가 되었다. 3주년의 Brand New World가 새롭게 개편된 UI와 진급을 알렸다면, Brand New Your World는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마이세카이|마이세카이]]를 뜻한다. * 2023년 11월, 산리오와의 컬래버를 진행하며 처음으로 보컬로이드 외 프로젝트와의 공식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컬래버 기간 동안 접속한 모든 유저에게 ‘헬로키티의 사과’[* 라이브 드링크(대)와 동일한 기능.]를 1개씩 지급하였고, 컬래버 특별 세카이에서 산리오 캐릭터들, 그리고 4성 카드를 받은 인게임 캐릭터와 담당 캐릭터들 간의 에어리어 대화[* 모든 에어리어 대화와 4성 사이드 스토리에는 산리오 캐릭터의 보이스도 수록되었다.]가 추가되었다. * 아직까지는 만우절, 기념일, 컬래버 등을 제외하고 복합 유닛 구성으로 오리지널곡이나 커버곡을 낼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 2021년부터 다양한 기업과의 컬래버를 진행하고 있다. * 2021 : [[포카리스웨트]][* 일본 판매 제품 한정] * 2022 : [[닛신 컵누들]] * 2023 : Ora²[* 일본의 기업 Sunstar의 칫솔, 치약 브랜드] * 2024 : 소니 WF-C510 * 2025 : [[SPAO]]^^대한민국 한정^^ * 기업 외에도 기타 서브컬처 캐릭터나 타 게임과의 컬래버도 진행된다. * 2021 : [[에빌리오스 시리즈]] * 2022 : [[게키츄마이]] * 2023 : [[산리오]] * 2024~2025 : [[동방 프로젝트]] * 2025 : [[앙상블 스타즈]], [[다마고치]], [[페르소나 5]]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